K-스페셜 list

스포츠대회 끝난 경기장, 사후활용 어떻게?

‘애물단지’ 전락 안 되려면 수익모델·편익시설 방안 있어야

작성일 : 2018-10-25 17:01 작성자 : 김경모 (kimkm@klan.kr)

 

대형 스포츠대회가 끝날 때마다 남겨진 경기장의 활용 방안에 대한 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 22일 강원도 국정감사에서는 수천억 원이 투입된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이 도마 위에 올랐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등의 저조한 운영수익이 문제였다.

 

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이들 체육시설의 수익은 평균 운영비의 15.8%에 불과해 매우 저조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다른 나라들의 동계스포츠 전지훈련지로 마케팅을 펼치는 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며 새로운 경영전략을 주문했다.

 

‘강원도 동계스포츠경기장 운영관리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의 비용 추계서에 따르면 시설 관리위탁 비용으로 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은 13억8900만원, 하키센터 14억1600만원, 슬라이딩센터는 12억5200만원이 각각 필요하다. 경기장 세 곳을 모두 합치면 연간 40억 원에 이른다.

 

 

빙상경기장 운영 수익문제는 곧바로 해당 종목의 위기로 이어진다.

 

지난 24일, 봅슬레이·스켈레톤 국가대표팀 미디어데이에서 이 같은 빙상경기장의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이들이 훈련을 해야 할 슬라이딩 센터는 운영적자가 쌓인 탓에 얼음을 얼릴 비용조차 없어 잠정적으로 문을 닫은 상황.

 

때문에 한국 썰매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따낸 ‘아이언맨’ 윤성빈을 비롯한 스켈레톤 종목 선수들은 지난 2월 평창올림픽이 끝난 이후 얼음트랙 위에서 단 한 차례도 주행 연습을 하지 못했다.

 

정선에 위치한 알파인 경기장도 문제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적 특성 상 활용방안 모색에 더욱 난항을 겪고 있다. 존치를 할지 복원을 할지 결론을 내리지 못해 갈팡질팡 하는 사이 폭우 시 토사가 흘러내리는 등 산사태 위험까지 제기됐다.

 

연간 수십억 원의 관리비를 떠안아야 하는 강원도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국감에서 최문순 지사는 분담 비율을 놓고 협의 중이라고 밝혔지만 상황이 녹록치가 않다.

 

정부는 시설물 운영관리를 지원할 근거와 사례가 없을 뿐더러 다른 지자체와 형평성도 문제로 불거질 수 있기에 신중한 입장이기 때문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내달 초 평창올림픽 경기장 사후활용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

 

   

 

지난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광역시는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과 일대를 관광단지로 조성한다.

 

애초 경기장을 체육시설로 활용하려 했지만 관리운영을 위한 재정 확보에 어려움을 겪다 관광단지로 방향을 튼 것이다.

 

이에 따라 62만3856㎡에 달하는 부지는 스포츠 테마 워터파크, 관광 숙박시설 등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아시안게임을 위해 지어진 16개 경기장의 최근 3년간 운영 적자액은 총 350억 원에 달한다. 매년 100억 원 넘게 손실을 보는 셈으로, 말 그대로 ‘돈 먹는 하마’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스포츠대회가 끝났다고 해서 모든 경기장들이 골칫거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영미 신드롬’ 한국 여자컬링 대표팀의 활약으로 인해 높아진 컬링에 대한 관심은 강릉컬링센터 경기장 활용에도 힘이 되고 있다.

 

지난 8월 ‘강릉빙상스포츠 페스티벌’이 열린 강릉컬링센터에는 2만여 명이 다녀갔다.

 

센터는 일반인들에게 장비를 대여해 주고, 초보 강습 등을 진행하는 컬링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어 관광객을 유도하고 있다.

 

아울러 코레일과 연계해 개별 여행객뿐만 아니라 가족단위나 교육기관 또는 기업연수 등을 대상으로 ‘컬링 체험 기차여행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휘슬러 슬라이딩센터도 좋은 본보기가 된다. 이곳도 동계올림픽을 위해 지어져 대회가 끝난 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평창과 같은 고민을 했기 때문이다.

 

휘슬러 슬라이딩센터는 봅슬레이, 스켈레톤 체험시설 운영으로 연 10억 원이 넘는 흑자를 내고 있다. 올림픽 이후 전문 선수들에게 트랙을 개방하는 때를 제외하고 일반인을 위한 체험시설로 만들었다. 여름에도 바퀴 달린 봅슬레이 썰매로 트랙을 달릴 수 있도록 운영하며 경기장은 사계절 내내 활용이 가능해졌다.

 

 

사후 활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기반시설에 늘 갈증을 품고 있는 지자체들은 스포츠 대회 개최를 체육 인프라 확충의 계기로 삼기도 한다. 대형 이벤트가 아니면 빠듯한 지방 살림사정에 평상시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탓이다.

 

지난 18일 막을 내린 전국체전. 주 개최지인 전북 익산시는 대회를 위해 325억 원을 투입해 종합경기장을 전면 리모델링했다. 경기장 내외부 도장 마감을 비롯해 육상 트랙에 우레탄을 깔고, 주차장 아스콘을 덧씌우는 공사를 했다. 관람석 의자를 들여놓고, 장애인 엘리베이터와 VIP실도 새로 만들었다.

 

익산 종합경기장은 이번 개선 공사를 통해 제1종 육상 공인시설로 지정됐다. 전국 단위 체육행사는 물론 국제대회도 유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익산시는 개보수한 체육시설을 발판삼아 각종 대회 유치에 나서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복안이다.

 

완주군 또한 새로 마련한 테니스장을 기반으로 초등대회, 전북랭킹대회부터 시작해 동호인대회, 엘리트대회, 전지훈련 등을 유치하는 한편, 군민들에게 생활체육시설로도 제공해 테니스 저변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전북도가 임실군에 건립한 국제양궁장은 내년 1월부로 임실군으로 위탁된다. 군은 도와 양궁협회 등과 협의를 통해 향후 활용대책을 세울 예정이다. 

 

 

<사진출처 :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홈페이지, 대한체육회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공식 블로그>

 

*여러분의 후원으로 케이랜뉴스/케이랜TV를 만듭니다.


전체 최신뉴스

주요뉴스

1/3

핫 클릭

시선집중

1/3

국회/정당

1/3

지방의회

1/3

이슈&이슈

1/3

행복나눔

1/3

실시간 뉴스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