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list

HOME → 피플 → 사설

지자체 케이블카 우후죽순 추진…곳곳서 마찰

“지역경제 도움” vs "환경파괴“ 맞서

작성일 : 2017-07-17 10:45 작성자 : 논설위원실 (k-lan@klan.kr)

전국의 명산과 해상에 케이블카 건설이 우후죽순처럼 추진되면서 곳곳에서 마찰이 일고 있다. 케이블카 건설을 추진하는 지자체 측에서는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반면 환경단체와 반대 주민들은 환경파괴를 가장 큰 이류로 꼽는다. 대표적인 것이 국립공원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다. 지난 1995년 설치 계획이 수립된 이후 20년 넘게 지루한 싸움이 이어져오고 있다. 이 사업을 추진해 온 강원도 양양군이 지난달 행정심판에서 이기면서 케이블카 추진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그동안 멈칫했던 지자체들도 기대를 갖는 모양이다. 하지만 케이블카 설치는 꼼꼼히 따져보고 해도 늦지 않다. 무턱대고 추진했다간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도 있다. 신중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지난해 민주당 도종환 의원실이 내놓은 자료를 보면 전국에서 케이블카 설치를 구상하고 있거나 추진 중인 곳은 모두 34곳에 이른다. 서울은 서울대공원 등 2곳, 경기는 제부도 등 4곳, 충북은 속리산 등 3곳, 전북은 마이산과 지리산, 내장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모두가 국립공원과 같은 명산이거나 절경을 자랑하는 해상공원 등이다.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은 타당성 용역 등을 통해 케이블카 설치 사업에 충분한 명분을 갖추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더 많은 관광객 유치를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계산서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치 않다. 각 지역마다 환경단체와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지역의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초의 계산대로 수익성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다. 현재 전국에서 운행 중인 케이블카의 수익성이 이를 말해준다. 전국 20개 케이블카 가운데 흑자를 내는 곳은 경남 통영 미륵산 케이블카와 전남 여수의 해상케이블카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적자를 내거나 현상 유지에 급급한 형편이다. 또 추진 중인 곳도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난 지역이 많다. 상당수는 향후 예상 수익으로 건설비용도 건지지 못할 지경이다. 여기에 환경단체와 지역민들의 갈등 비용까지 합하면 수익성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케이블카에 관심을 갖는 것은 돈 때문이다. 지역의 관광 명소에 케이블카를 설치,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경제에 보탬을 주자는 취지가 가장 크다. 그렇다면 면밀하고도 꼼꼼하게 따져볼 일이다. 케이블카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아니지 않는가. 경제성이 없는 곳에 설치를 했다가는 자칫 애물단지가 될 수도 있다. 돈을 벌기는커녕 자치단체의 짐이 될 뿐이다. 만약 자치단체장의 치적용으로 추진한다면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두고두고 손가락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단체와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훼손은 쉬워도 복구에는 더 많은 비용이 드는 법이다.

 

*여러분의 후원으로 케이랜뉴스/케이랜TV를 만듭니다.


전체 최신뉴스

주요뉴스

1/3

핫 클릭

시선집중

1/3

국회/정당

1/3

지방의회

1/3

이슈&이슈

1/3

행복나눔

1/3

실시간 뉴스

1/3